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 시스템>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사항
총 1,179건(57/118 페이지)
예시 답안 없음
예시 답안 수록
옷, 신발, 장난감, 동화책 등을 아껴 쓸 수 있습니다.
공감 능력의 향상을 위한 시각화 자료
피아제(Piaget)에 따르면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 조망 수용 능력과 역할 수용 능력이 발달하는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공감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발달 단계상 언어적인 설명을 통한 활동보다는 손으로 만지고 볼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를 활용하는 활동이 더욱 필요하다고 하였다(Berk, 2012). 그리고 시각화된 자료는 고정된 언어 자료를 기억할 때 보다 더 나을 뿐만 아니라 언어와 시각을 함께 제시할 때는 둘 중 하나만 제시할 때보다 정보를 더욱 잘 기억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Paivio, 1986; Sadoski&Paivio, 2001). 더 나아가 시각화된 자료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데 효과적이다(김명신, 2012). 그러므로 초등학생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각화된 자료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박사 학위 논문, 2015, 권현숙).
-나: 엄마, 아빠! 오늘 저녁밥이 정말 맛있었어요.
-아빠: 현수야! 방 청소를 깨끗이 했네! 잘했어.
-동생: 오빠! 이 문제가 어려워. 가르쳐 줘.
-내가 할머니에게 듣고 싶은 말: 우리 손주! 정말 보고 싶었어.
-형이 나에게 듣고 싶은 말: 형은 그림을 정말 잘 그려.
행복하고 화목한 가족이 되기 위해 서로 사랑하고 감사해야 합니다.
몸이 많이 아플 때 부모님께서 밤새도록 저를 간호해 주셨습니다.
tl시후는 학급 친구들이 지각을 했을 때 어떤 생각을 했으며 주변 사람들에게 칭찬을 들었을 때 어떤 기분이 들었을까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