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과서 |
고등학교 |
2015 |
인정 |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
고급 화학 |
없음 |
박국태 외 4명 |
2018/03/01 |
2 |
대단원 |
중단원 |
쪽 |
현행내용 |
수정내용 |
인쇄반영일 |
정정항목 |
Ⅱ 물질의 상태와 용액 |
1. 몰과화학식량 |
65 |
SI 기본 단위
1. 질량(kg):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질량은 국제 도량형국의 금고에 보관된 국제 킬로그램 원기의 질량을 1 kg 의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측정되고 있다. 이 질량 원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백금과 이리듐을 9 : 1의 비율로 만든 단결정이다. 밀도가 크고 화학적 안정성이 비교적 크지만 공기와의 접촉으로 질량이 변할 수 있으므로 진공 용기에 보관되어 있다.
2. 길이(m): 길이의 기본 단위인 1미터는 1983년에 국제 협약을 통해 빛이 진공에서 1/299,792,458초 동안 이동하는 거리로 정하였다. 이때 빛의 속도는 299,792,458 m/s 라고 정의하였다. 초기의 미터는 적도에서 북극까지 거리의 1천만 분의 1로 정의하기도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국가 길이 표준기인 아이오딘 안정화 헬륨-네온 레이저의 파장을 이용하여 길이를 표준화한다.
3. 시간(s) : 1초는 바닥상태에 있는 세슘 동위 원소 133Cs에서 방출되는 특정 진동수의 빛이 9,192,631,770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
SI 기본 단위
1. 질량(kg): 1킬로그램은 1889년 제1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채택된 백금-이리듐으로 만든 국제 킬로그램 원기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100여년 동안 약 수십 ㎍이 변한 것으로 추정되어 2018년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플랑크 상수 h를 J・s(kg・m2・s-1)단위로 나타낼 때 6.62607015×10-34이 되도록 정의하였다.
2. 길이(m): 길이의 기본 단위인 1미터는 1983년에 국제도량형총회에서 빛이 진공에서 1/299,792,458초 동안 이동하는 거리로 정의하였다. 이때 빛의 속도는 299,792,458 m/s 라고 정의하였다. 초기의 미터는 적도에서 북극까지 거리의 1천만 분의 1로 정의하기도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국가 길이 표준기인 아이오딘 안정화 헬륨-네온 레이저의 파장을 이용하여 길이를 표준화한다.
3. 시간(s): 1초는 바닥상태에 있는 세슘 동위 원소 133Cs에서 방출되는 특정 진동수의 빛이 9,192,631,770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
2020/03/01 |
내용수정 |
위치 |
세부정정항목 |
본문 위에서 20번째 줄 |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