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 시스템>시스템 안내>홍보자료
학교 수업 지원을 위해 상시적 교과서 품질관리 체제를 구축하고 수정보완을 통한 미래형 교과서 개발보급을 지원하고 있어요교과서 품질관리,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볼까요?교과서 품질관리 첫 번째,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 시스템 운영 - 오류정정, 최신통계, 현장교사 의견, 사회적 요구 등을 반영하기 위해 교과서를 수정보완해야 할 경우가 발생합니다.① 교과서 집필자, 발행사들이 수정보완 여부를 검토해요.② 수정보완할 내용은 교육부, 시도교육청의 검토승인 과정을 거칩니다.③ 이렇게 검토승인된 내용은 즉시 교육 현장에 안내됩니다.④ 2015년부터 지금까지 이렇게 많은 내용들이 수정보완 과정을 거쳐 개선 되었습니다.(총 62,265건)교과서 품질관리 두 번째, 교과서 모니터링단 운영 – 현장 교사, 양성평등인권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교과서 모니터링으로 교과서 수정보완 체제를 지원합니다.교과서 품질관리 세 번째, 교과서 질 관리 사이버 연수원 운영 – 교과용도서 편찬 및 수정보완을 위하여 다양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원격 연수를 지원합니다.교과서 품질관리 네 번째, 자유발행제 현장 안착을 위한 인정도서 질 관리 강화 – ① 인정도서 개발 안내 자료집 개발보급 인정도서 질 관리를 위한 검토지원단 구성운영 ② 교과서 자유발행제 정책 안내와 소통을 위한 기초자료 제작, 정책 연구교과서 품질관리 다섯 번째, 교과서 관련 정보연구자료 DB 구축 및 서비스 제공 – 교과서 정보관의 소장 자료는 현재 교과서, 참고문헌, 연구보고서, 연속간행물 등 총 80,491건이 탑재되어 있습니다.교과서 품질관리 여섯 번째, 교과서 품질관리 협력 체계 구축 – 교육부,시도교육청, 편찬기관, 발행사, 한국교과서연구재단은 긴밀히 협력하여 교과서 품질 향상에 노력하고 있습니다.교과서의 상시적 품질관리 – 1.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시스템 운영, 2. 교과서 모니터링단 운영, 3. 교과서 질 관리 사이버 연수원 운영, 4. 자유발행제 현장 안착을 위한 인정도서 질 관리 강화, 5. 교과서 관련 정보연구자료 DB 구축 및 서비스 제공, 6. 교과서 품질관리 협력 체계 구축앞으로 교과서가 더욱 신뢰와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모든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과서, 우리 함께 만들어 가요!
교육부는 학습자 중심의 초·중등학교 교육을 위해
교과용도서 품질관리 체제를 구축하고,
상시적인 수정·보완을 통한 현장 적합성 증대와
미래형 교과서 개발·보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관련 영상을 통해 알아봅시다.
- 한국교과서연구재단 홈페이지: http://www.textbook.ac/
-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 시스템 홈페이지: https://www.textbook.or.kr/
- 교과서 정보관 홈페이지: https://www.kotry.kr/
-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 홈페이지: https://www.textbook114.com/